커뮤니티

제목 '죽느냐 사느냐' LED업계 비상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07.03.30 조회수 1907

죽느냐 사느냐 LED업계 비상

40여업체·단체 4월 LED표준화 컨소시엄 구성

한국광고신문 장준환 기자, cjh71@ksignnews.com

 

15종의 LED KS 규격 제정을 주도하게 될 LED조명표준화컨소시엄이 4월부터 본격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컨소시엄 참여 여부가 LED 업계의 또다른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컨소시엄은 40여 민간업체 및 관련 단체로 구성될 예정이며, 사실상 심의․결정기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주목을 끌고 있다.

이에 앞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지난 8일 ‘LED조명 표준화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기업의 LED조명 기술 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시험평가 방법과 조명제품의 품질기준을 표준화하고, 이를 위한 콘소시엄을 구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산업자원부는 “기존의 형광등 조명이 LED조명으로 자연스럽게 대체될 수 있도록 전등기구제조업체들이 컨소시엄에 많이 참여해줄 것을 희망한다”며 “민간업체는 물론, 조명기술연구소, 조명전기설비학회, 에너지관리공단, 광기술원, 표준과학연구원 등의 유관 단체들도 두루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표준원은 4월중 컨소시엄 참여 희망업체들과 사전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컨소시엄 구성이 확정되면 제품 인증 기준, 적합성 평가, 시험 방법, 정책 등 4개의 워킹그룹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특히 15종의 LED KS 규격 제정을 주도하게 될 LED조명표준화컨소시엄이 4월부터 본격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컨소시엄 참여 여부가 LED 업계의 또다른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컨소시엄은 40여 민간업체 및 관련 단체로 구성될 예정이며, 사실상 심의․결정기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주목을 끌고 있다.
이에 앞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지난 8일 ‘LED조명 표준화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기업의 LED조명 기술 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시험평가 방법과 조명제품의 품질기준을 표준화하고, 이를 위한 콘소시엄을 구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산업자원부는 “기존의 형광등 조명이 LED조명으로 자연스럽게 대체될 수 있도록 전등기구제조업체들이 컨소시엄에 많이 참여해줄 것을 희망한다”며 “민간업체는 물론, 조명기술연구소, 조명전기설비학회, 에너지관리공단, 광기술원, 표준과학연구원 등의 유관 단체들도 두루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표준원은 4월중 컨소시엄 참여 희망업체들과 사전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컨소시엄 구성이 확정되면 제품 인증 기준, 적합성 평가, 시험 방법, 정책 등 4개의 워킹그룹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특히 시중 업체들이 대거 참여한 컨소시엄이 제정한 KS 규격을 다시 IEC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어서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콘소시엄 참여 여부를 두고 업계에선 미묘하게 입장이 갈리고 있다. 조명용LED측정기술표준화포럼에 참여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LED조명 기술과 표준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다”고 경험을 들려주며 이를 환영했다. 반면에 또다른 업체 관계자는 “업체간의 기술격차가 분명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칫 컨소시엄 내의 정보 교류가 ‘일방통행’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회의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기술표준원의 채경수 연구관은 “컨소시엄은 산자부 산하 조명산업발전위원회와도 협력하는 한편, LED 및 조명기구업체간의 공동출자나 외국 관련기업과의 기술 교류를 촉진시키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중 업체들이 대거 참여한 컨소시엄이 제정한 KS 규격을 다시 IEC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어서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콘소시엄 참여 여부를 두고 업계에선 미묘하게 입장이 갈리고 있다. 조명용LED측정기술표준화포럼에 참여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LED조명 기술과 표준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다”고 경험을 들려주며 이를 환영했다. 반면에 또다른 업체 관계자는 “업체간의 기술격차가 분명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칫 컨소시엄 내의 정보 교류가 ‘일방통행’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회의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기술표준원의 채경수 연구관은 “컨소시엄은 산자부 산하 조명산업발전위원회와도 협력하는 한편, LED 및 조명기구업체간의 공동출자나 외국 관련기업과의 기술 교류를 촉진시키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전글 공공 LED조명 `3강체제` 고착화
다음글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