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불용예산 LED조명 교체사업에 쓴다 | ||||
---|---|---|---|---|---|
작성자 | 관리자 | 날짜 | 2008.12.30 | 조회수 | 750 |
보도블록 뜯는 대신 조명교체…보급정책 탄력 받을듯 지자체들이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사업에 불용예산을 투입키로 해 LED조명 보급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28일 행정안전부 및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그동안 보드블럭 개선 등에 사용되던 지자체의 불용예산이 각 공공기관에 설치된 백열등, 할로겐램프(MR, PAR 타입) 등을 LED로 교체하는 작업에 투입된다. 교체 대상은 백열등 30∼40W, 60W, 100W와 할로겐 MR 타입 20W, 35W, 50W 및 PAR 타입75W다. 이에 따라 정부의 중앙청사 39곳과 소속기관 5159곳, 자치단체의 본청사업소 1909곳, 소속기관 3562곳 등 1만여개가 넘는 전국 공공기관은 남은 불용예산을 조명 교체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전국 지자체에서 조명 교체사업을 벌이는 것은 지식경제부가 우체국을 대상으로 LED교체 시범사업을 벌인 후 최대 규모로, 교체사업 공사는 내년 2월까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추진되는 이번 교체사업은 에너지관리공단이 기업과 공공기관의 수요공급을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한다. LED 조명 제조사들은 에너지관리공단에 사양별 제품 등록을 완료하고, 공공기관들도 교체 수요물량을 에관공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최종 발주는 기업과 공공기관을 연결시켜 완료된다. 이미 지난 24일 제조사 등록이 완료됐는데, 1000여곳에 달하는 유관 기업들이 이번 사업 참여를 위해 등록을 완료했다. 제조업체는 LED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곳이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도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면 참여할 수 있어 진입문턱이 낮다. 지자체 수요도 현재 각 품목별로 100여개 공공기관에서 130여개 이상의 교체 수요를 요청한 상태다. 공공기관의 대규모 LED조명 보급사업은 정부의 에너지 효율 공공사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 보급사업을 통해 각 제조사들은 고효율 제품 분야에서 외산기업들이 점유한 시장을 찾아오고, 전국 관공서들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정부 기조에 맞춘다는 입장이어서 내년도 LED교체사업이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LED 조명 교체사업과 관련 준비기간이 부족해 정부가 취약한 일부 중소업체들을 소외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야 정부 돈을 들여 공급처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만, 보급사업을 추진하는 기간 자체가 매우 짧아 기업들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없고, 제조사별 생산능력을 배제한 채 추진되다 보니 비교적 생산능력이 큰 대기업 위주의 밀어주기 사업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LED조명 생산기업 중 비교적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은 12월 제품 등록을 완료하고 내년 2월까지 모든 발주를 완료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납기일을 맞추는 것은 힘들다"며 "정부가 불용예산을 올해 모두 투입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좀더 장기적인 준비 과정이 없었던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또한 급하게 잡은 일정 때문에 몇몇 지방 관공서는 교체사업과 관련한 공문을 발송 받지 못한 곳도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디지털타임즈 |
|||||
이전글![]() |
공공 LED조명 `3강체제` 고착화 | ||||
다음글![]() |
TE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