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공공기관 기존조명 전면교체… 균제도 기준 강화
서울시가 이달부터 LED조명 보급사업에 100억원을 투입, 공공기관 LED 보급률 20% 달성을 추진한다. 또 공공기관의 기존 조명을 2020년까지 LED로 전면 교체하기 위해 KS 규격보다 강화된 LED조명 보급기준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온도변화에 따른 광 변화율, 보행자 안전을 위한 LED 보안등기구 무게와 도로바닥의 빛 균일 정도를 나타내는 균제도 기준을 추가하고, 광효율ㆍ연색성ㆍ색온도 기준을 강화한 `서울시 공공기관 LED조명 보급기준을 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또 LED조명 보급사업에 100억원을 집행한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서울시는 기존 전구형 신호등 14만6913개를 LED로 교체했으며 지난 4월까지 실내조명, 보안등, 가로등에 대한 시범설치 사업을 통해 전체 공공기관 조명 중 17.3%를 LED조명으로 교체한 바 있다. 2020년까지 공공기관 조명 100%를 LED로 교체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KS인증과 별도로 공공기관 LED 보급을 위해 지난 5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LED조명 용도별 성능 판정 및 설치기준 기술용역을 의뢰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보급기준안을 마련했다. KS 인증기관인 지경부 기술표준원, 고효율기자재 인증기관인 에너지관리공단, 국책 연구ㆍ시험기관, 학계ㆍ협회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해 최종안을 수립했다는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이번 보급기준안에 따르면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LED 보안등의 등기구 무게를 15㎏ 이하로 규정했다. 도로 바닥의 빛 균일 정도를 나타내는 균제도는 0.2 이상으로 추가 규정했다.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전기사용량 절감과 관련된 광효율, 자연광에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연색성, 차갑고 따뜻한 느낌을 나타내는 색온도에 대해 KS보다 높은 기준치를 제시했다.
사후관리를 위해 `LED 자발적 관리제도도 마련했다. 이는 LED조명 구매부서가 실제 조명환경을 고려한 구매 기준을 제시하면 공급자가 자발적으로 제시기준에 맞는 제품 성능서를 제출하고 보증기간 내 제품 성능을 책임지는 제도이다.
한편 이번에 제시한 공공기관 LED조명 보급기준과 달리 서울시가 기존 추진해온 새빛 서울시 프로젝트는 잠정 중단된 상태다.
새빛 프로젝트는 서울시의 보안등을 LED조명으로 전면 교체, KS인증 외에 서울시의 별도 인증을 통과한 제품에 `새빛마크를 부여, LED 실증센터 설치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서울시의 전략사업 중 하나다. KS인증과의 호환 문제, 별도 인증마크 부여에 따른 부담 등이 문제로 떠오르면서 현재 관련 사업을 재검토하는 연구용역 사업이 내년 2월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결과에 따라 사업의 계속 여부 및 수정ㆍ보완점을 파악해 진행하게 된다.
김영성 서울시 녹색환경정책담당관은 "이번 보급기준과 자발적 관리제도를 통해 공급자의 기술력을 높이고 수요자의 신뢰성을 확보해 LED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약 6만기가와트의 전기를 절약해 탄소배출 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dt.co.kr
디지털타임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