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보급… 공공기관 ESCO사업 의무화
민관 합동으로 2020년까지 1조원을 투입, 전국의 노후 공공 임대아파트 88만 세대에 LED조명과 고효율 난방기 등 에너지절약 설비를 보급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또 내년부터 1만㎡ 이상 모든 공공기관에 에너지절약 전문기업(ESCO) 사업을 의무화하고, 내년 ESCO 지원자금을 6000억원으로 4배 이상 확대하는 등 국내 ESCO 산업규모를 2015년까지 1조원으로 키우기로 했다.
20일 지식경제부는 내년 서울 지역 공공임대아파트 7개 단지, 3809세대를 대상으로 `아파트 ESCO 시범사업`(예산 70억원)을 추진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1조원(정부 약 6300억원, 민간 약 4200억원)을 투자해 준공 10년이 지난 공공임대아파트 88만 세대에 ESCO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ESCO(Energy Service COmpany)는 자금조달 능력이 부족한 민간 기업이나 개인, 공기관 등을 대신해 에너지절약 설비를 설치해주고, 이를 통해 절약한 에너지 비용만큼을 매년 투자비로 회수하는 기업을 말한다.
지경부는 공공 서민 임대아파트의 노후 보일러를 고효율 보일러로 교체하고, 지하주차장 조명을 LED로 대체하는 한편 대기전력 차단장치도 보급키로 했다. 지경부는 내년 시범사업으로 대상 아파트의 연간 에너지비용을 29% 줄여 세대당 평균 에너지 비용이 45만5000원에서 32만3000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경부는 공공 임대는 물론 일반 아파트까지 포함한 아파트 전용 ESCO 사업 브랜드를 세이브(SAVE;Save Energy via ESCO)로 정하고, 산ㆍ학ㆍ관 전문가로 구성한 `아파트 ESCO 지원협의회를 운영해 사업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 특히 그간 아파트 ESCO 사업에선 에너지 절감액 100%를 ESCO사업자가 가져가던 것을 변경, 50%만 가져가고 나머지 50%는 아파트 입주민 관리비를 인하토록 했다. 또, 각종 이권결탁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아파트 입주자단체의 자체 사업발주 관행을 개선해 투명한 국가계약법 절차를 따르도록 했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이날 ESCO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우선 내년부터 1만㎡ 이상 면적을 보유한 모든 공공기관의 ESCO 사업을 의무화하고, 에너지 진단결과 개선 효과가 5% 이상이고 투자회수 기간이 10년 이하일 경우도 사업 의무화를 추진토록 하는 등 ESCO산업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또 중소 ESCO 기업 자금지원을 위해 ESCO공제조합을 설립하고, 올해 1350억원인 지원자금 규모를 내년 6000억원으로 4배 이상 확대키로 했다.
최 장관은 "국내 ESCO 산업규모는 작년 2000억원 정도로 세계시장의 1.2% 규모에 불과하고, 40여 기업이 대부분 중소 사업자들로 70%가 정책자금에 의존하는 상황"이라며 "에너지절약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해 2015년까지 시장규모 1조원, 고용창출 1만7000명, 연간 에너지절감량 55만 TOE(석유환산톤)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룡 기자 srkim@dt.co.kr
디지털타임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