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반도체 신제품 내놓고 실적부진 만회 잰걸음
발광다이오드(LED)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대표 이정훈)가 기존 LED에 비해 5배 이상 밝은 LED 신제품 `엔폴라(nPolaㆍ사진)` 를 선보이며 하반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지난해에 이어 올 1분기까지 이어져 온 실적 부진을 탈피하는 반전의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3일 서울반도체는 소공동 플라자호텔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개최하고 기존 LED에 비해 5배 이상 밝기와 자연광에 가까운 빛의 장점을 보유한 엔폴라를 통해 LED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꿔나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제품은 서울반도체가 10년 넘게 개발한 무분극(Non Polar) 기술을 적용, 밝기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 특징으로 1년 이내에 밝기를 10배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양산되고 있는 LED 파워칩의 발광효율은 100루멘 내외 정도지만 이번에 공개한 제품은 500루멘으로 기존 제품의 5배에 달한다
또 기존 LED가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한 것과 달리 엔폴라는 질화갈륨(GaN)을 사용해 결함으로 인한 빛의 감도 저하를 방지한 것이 장점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한 LED 칩은 1평방센티미터당 1억개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지만 질화갈륨을 사용하면 이를 대폭 줄여 보다 밝은 빛을 낼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정훈 서울반도체 사장은 "질화갈륨을 사용한 LED칩에서는 결함은 최대 1만개, 최소 100개까지 줄일 수 있다"면서 "60W 대체용 LED 전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0∼20개의 LED 패키징이 사용되는데 엔폴라 LED를 적용하면 1∼2개의 패키징 만으로도 동일한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반도체는 엔폴라가 LED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조만간 제품 생산에 들어가 해외 전략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내년까지 회사 전 제품의 10∼20% 정도에 엔폴라를 적용한 뒤 3∼5년 내에 전 제품을 엔폴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 사장은 "엔폴라의 양산 성공으로 LED 설비 투자비용을 기존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는 현재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LED조명 시장의 도래를 보다 빠르게 앞당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혁신적 기술에도 불구하고 엔폴라로 인한 매출 발생은 단계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서울반도체는 단기적으로 엔폴라 적용을 LED 조명에 집중하고 이후 TV용 LED 백라이트 유빗(BLU) 등으로 적용분야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으로 일단 시장이 한정적이다. 특히 LED조명의 경우, 소비자들의 구매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혁신 기술을 통한 가격 인하뿐만 아니라 전력절감 효과의 체감도가 높아질 수 있는 전력요금 인상 등과 같은 외부적 동인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감안한 듯 이 사장은 "당장 올 하반기부터 가시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면서도 "내년도 구체적인 매출 목표 수치는 올 4분기 말에 밝힐 것"이라며 보다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