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부 LED조명 교체사업, 업체간 `출혈 경쟁` 심화 | ||||
---|---|---|---|---|---|
작성자 | 관리자 | 날짜 | 2018.01.18 | 조회수 | 1239 |
올해 한국에너지공단의 취약계층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교체사업' 예산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LED 조명 업계는 이 사업의 공급업체 선정 기준의 핵심이 낮은 납품 단가라며, 업체간 출혈 경쟁이 심할 것으로 예상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에너지공단의 에너지복지사업 일환인 취약계층 LED조명 무상교체 사업으로 총 17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14개 지자체가 현재까지 190억원의 예산을 책정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이 사업의 총 예산은 232억8500만원이었다. 17개 지자체 가운데 서울시·충청북도·세종특별자치시 등 지자체 세 곳이 아직 관련 사업 예산을 공지하지 않았다. 하지만 업계는 예산이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 사업은 한국에너지공단이 매년 200억원 내외 예산을 각 지자체로 전달하면 각 지자체가 예산을 더해 취약계층의 조명을 LED조명으로 교체해주는 사업이다. 각 지자체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LED 조명업체를 선발한다. 업계 관계자는 "지자체마다 심사기준이 다르지만, 입찰을 받기 위해 광효율, 업체 신용도, 사후서비스(AS) 등 다양한 심사 기준이 반영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는 결국 '가격'이 낙찰을 좌우한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온라인에 공개된 지자체 입찰 공고를 살펴보면 '최저가격 견적제출자 순으로 결격 사유를 심사한다'는 내용이 언급돼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업체 선정 과정에서도 납품 단가 인하 경쟁이 벌어질 전망이다. LED조명 업체 관계자는 "오래된 건물에 달아야 할 조명이라서 경량화도 중요한 심사 요소이지만, 결국 낙찰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가격"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달청에 등록된 실내 LED 조명등 공급업체는 275곳이다. 강해령기자 strong@dt.co.kr |
|||||
이전글![]() |
에너지 절감한다면서…'50W' LED 조명 찾는 공공기관 부지기수 | ||||
다음글![]() |
LG이노텍, 고급 LED 조명용 ‘플립칩 LED 패키지` 양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