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세라믹부문 20억 예산 배정 등 지원책 마련
스마트폰ㆍ전기차 용 배터리나 스마트그리드 사업 등 에너지 관련 시장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급성장하면서 관련 소재의 수요도 계속 늘고 있다. 하지만 핵심 소재인 세라믹 관련 국내 소재 산업은 대기업과 정부의 무관심 속에 영세함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조만간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20일 국회 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대표 강창일 민주통합당 국회의원)이 주최한 `스마트그리드 핵심소재 산업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김종희 한국세라믹기술원 박사는 "신재생에너지 소재개발이 스마트그리드 산업 성장을 가속화시킬 것"이라면서 "(신재생에너지 관련)모듈과 부품 제조는 국내 몇몇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하고 있지만 핵심소재는 거의 손에 꼽을 정도"라고 지적했다.
세라믹이란 정제된 여러 광물을 열처리 등으로 가공해 산소, 질소, 탄소 등을 결합시킨 무기질 소재로, 도자기나 시멘트도 전통적 의미로 이에 속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각종 합성 원료를 결합해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기능을 부여하는 파인 세라믹이라는 물질을 지칭한다. 이는 배터리나 콘덴서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된다.
지난 2010년 세라믹 생산량은 31조7000억원에 이르렀다. 하지만 핵심소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한 탓에, 이 부문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가 전년 대비 11억 달러 늘어난 19억 달러(약 2조원)에 이르렀다는 게 김 박사의 설명이다.
실제 시스템과 모듈, 부품 시장에서는 한국전력과 풍산, 포스코, 삼성SDI, LG화학, OCI, GS칼텍스 등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대거 포진돼 있지만, 세라믹 등 핵심소재 시장에선 전체 생산량의 80.5%를 영세 중소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래에너지 분야 시장규모가 향후 10년 간 연평균 15.1% 수준으로 성장한다는 전망이 이어지는 만큼, 관련 부품ㆍ소재의 국산화율 향상이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상국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는 "선진국의 핵심 원천 소재기술 분야의 독점 및 시장진입에 대한 견제가 심해 국산화율이 56%(2010년 기준)에 머물고 있다"며 "리튬2차전지의 50%, 고체연료전지 90%, LED의 70%가 세라믹 소재와 부품인데, 세라믹의 경우 일본이 가장 강국으로 적극 대처하지 않으면 일본만 좋은 일 시켜주는 격"이라고 말했다.
우 박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에 관련 전담 부서 마련을 요구했다. 그는 "미래산업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기 때문에 긴 안목으로 투자해주고 학교와 연구소, 업체 등을 잘 배치해서 전후방 소재를 동시에 개발해야 한다"며 정부가 대ㆍ중소기업 간 공동기술 개발 모델을 확산하고 지원비율을 늘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부품ㆍ소재전문기업 육성 관련 특별조치법 법령에서 세라믹 품목 중 일부만이 해당되는 만큼, 관련 법령 개정과 함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세라믹 전담 인력 및 부서 신설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세라믹 산업의 정책적 지원이 부족했음을 인정하면서, 조만간 중장기 계획안을 담은 `세라믹 산업 종합 발전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김학도 지식경제부 신산업정책관은 "당장 내년 20억원의 예산을 배정해 R&D에 투자하고 이를 씨앗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할 것"이라며 "목포 등 각 지역별로 세라믹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거점을 조성하고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시설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경부는 이날 논의를 비롯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이르면 연말 경 대략적인 정책 방향을 소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타임즈
박정일 기자 comja77@dt.co.kr |